[이모티콘 보호하기]내 소중한 캐릭터, 도용당했다면?"

파인특허
November 21, 2025

하루에도 수천만 건이 오고 가는 카카오톡과 라인 메시지 속에서, 감정을 대변하는 이모티콘은 하나의 거대한 산업이 되었습니다. 누구나 크리에이터가 될 수 있는 시대인 만큼, 반짝이는 아이디어로 만든 내 캐릭터가 큰 수익을 가져다주기도 합니다.

하지만 빛이 있으면 그림자도 있는 법입니다. 무단 도용, 유사 캐릭터 출시, 굿즈 불법 제작 등 지식재산권(IP) 침해 사례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내가 그렸으니까 자동으로 보호되겠지?"라고 안일하게 생각했다가 소중한 자산을 잃을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모티콘 작가님들이 반드시 알아야 할 이모티콘 법적 보호 3단계 전략을 명쾌하게 정리해 드립니다.

1. 저작권: 창작과 동시에 발생하지만 '등록'이 필요한 이유

이모티콘을 그리는 순간, 저작권은 자동으로 발생(무방식주의)합니다. 하지만 법적 분쟁이 발생했을 때, '내가 먼저 창작했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것은 생각보다 어렵습니다.

  • 저작권 등록의 효과: 한국저작권위원회에 저작권을 등록하면 창작 사실과 창작 연월일이 법적으로 추정됩니다. 도용 피해 발생 시 과실 추정 규정이 적용되어 손해배상 청구가 훨씬 수월해집니다.
  • Tip: 완성된 이모티콘 세트뿐만 아니라, 캐릭터의 초기 스케치나 시안도 보관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2. 상표권: 캐릭터 사업화의 핵심 

단순히 메신저 내에서 이모티콘만 판매할 것이 아니라, 인형, 문구, 굿즈 등으로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라면 '상표권' 등록은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저작권만으로는 캐릭터의 '이름'과 '브랜드'를 지킬 수 없습니다."

  • 이름 보호: 내 캐릭터 이름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이름을 타인이 사용하여 제품을 판매하는 것을 막으려면 상표권이 필요합니다.
  • 류(Class) 지정: 문구류(16류), 의류(25류), 장난감(28류) 등 진출하려는 카테고리에 맞춰 상표를 출원해야 합니다.
  • 선출원 주의: 상표는 먼저 만든 사람이 아니라, 먼저 출원한 사람에게 권리가 주어집니다. 인기가 많아진 뒤 등록하려다 이미 타인이 선점하여 낭패를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3. 디자인권: 화상 디자인 보호의 대안

최근에는 화상 디자인(GUI)에 대한 보호가 강화되면서, 이모티콘 자체의 외관을 디자인권으로 보호받는 전략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 물품성 인정: 과거에는 물품에 표현된 디자인만 인정되었으나, 이제는 디지털 화상 디자인 자체도 디자인권으로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 강력한 독점권: 저작권보다 권리 주장이 명확하며, 등록된 디자인과 유사한 디자인의 사용을 강력하게 금지할 수 있습니다.

침해 대응 시 주의사항

내 이모티콘과 똑같거나 교묘하게 비슷한 캐릭터를 발견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1. 감정적 대응 자제: 당장 상대방에게 협박성 메시지를 보내는 것은 오히려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2. 증거 수집: 상대방의 판매 사이트, 게시물, 판매량 등을 캡처하여 증거를 확보하세요.
  3. 전문가 상담: 내용증명 발송부터 형사 고소, 손해배상 청구까지 지식재산권 전문 변리사와 상의하여 체계적으로 대응해야 합니다.

이모티콘 작가님들의 든든한 파트너, 파인특허법률사무소

이모티콘 시장은 아이디어 싸움입니다. 작가님의 소중한 아이디어가 법의 보호 울타리 밖에서 훼손되지 않도록, 파인특허법률사무소가 함께하겠습니다.

파인특허는 캐릭터 저작권 및 상표권 출원 원스톱 서비스, 이모티콘 사업 확장을 위한 IP 포트폴리오 컨설팅, 지재권 침해 경고장 작성 및 법적 대응 자문을 제공합니다.

망설이는 사이에 누군가 당신의 캐릭터를 노리고 있을지 모릅니다. 지금 바로 내 캐릭터의 권리 상태를 점검받으세요.